


스터디 활동 보고서
참여 날짜 / 위치
2016년 5월 19일 목요일
5시 – 7시
국민대학교 성곡 도서관 Study room3
참여 인원
이성재 경영학과
김** 기계시스템공학과
김** 기업경영학과
이** 자동차공학과
이** 건설시스템공학과
활동 개요
아두이노 요약본 발표
과제 의문점
역할분담
활동 세부사항
아두이노 강좌 3강 요약 및 발표
3강 : LED의 이해 및 활용
LED의 특징 / 저항의 특징 / 옴의 법칙에 대한 이해
파도처럼 반짝이는 LED의 구현
버튼을 사용하여 LED의 ON/OFF 제어하기
학습 중 의문점에 대한 토론
플로팅 상태란 정확히 무엇인가?
전류가 흐르고 끊기는 것이 정확하지 않은 상태를 플로팅 상태라고 한다.
0도 아니고 1도 아닌 상태라고 바꾸어 이야기할 수 있다.
이러한 상태를 제거하기 위해 저항을 풀업, 풀다운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.
실제 아두이노 활용 과제 수행
실험 1 : 파도처럼 반짝이는 LED 구현
LED 5개 / 300 ohm 저항 5개 준비
회로도를 따라 아두이노 우노와 브레드보드를 연결
LED가 순차적으로 깜빡이는 내용의 코딩을 스케치에 작성
컴파일 후 업로드
완료
실험 1 의 특이 사항
강좌에서는 560 ohm의 저항을 사용하나,
일치하는 저항이 없는 관계로 가장 가까운
300 ohm의 저항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.
정상적으로 작동하였다.
실험 2 : 버튼을 활용하여 LED 제어하기
LED 1개 / 버튼 1개 / 300ohm 저항 1개 / 1Kohm 저항 1개 준비
회로도를 따라 아두이노 우노와 브레드보드를 연결
버튼을 눌렀을 때, 잠깐 동안 LED 에 불이 들어오는 내용의 코딩을 스케치에 작성
컴파일 후 업로드
완료
실험 2의 특이사항
강좌에서는 560 ohm, 10K ohm을 사용하라고 말하나,
실제 보유한 저항이 300 ohm, 1K ohm인 관계로 낮은 저항을 사용하게 되었다.
정상적으로 작동하였다.
아두이노 강좌 4강 요약 및 발표
4강 : 삼색 LED의 이해 및 활용
3색 LED의 특징 / PWM의 개념
자동으로 3색 LED 색 변화시키기
버튼을 이용하여 3색 LED 색 제어하기
학습 중 의문점에 대한 토론
PWM의 개념이 정확히 무엇이고, 왜 필요한가?
PWM이란 Pulse Width Modulation의 약자로, 펄스 폭 변조라는 의미이다
전류를 일반적으로 0과 5V 둘 중 하나만 낼 수 있는데,
PWM 기능을 활용하여 0과 5V 전류의 시간적 길이를 조절함으로써
그 사이의 전류를 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.
실제 아두이노 과제 수행
실험 1 : 삼색 LED가 특정 시간마다 색이 변화하게 하기
삼색 LED 1개 준비
회로도를 따라 삼색 LED를 브레드보드와 아두이노에 연결
특정 시간마다 삼색 LED의 색상 조합이 변화하는 내용의 코딩을 스케치에 작성
컴파일 후 업로드
완료
실험 1의 특이사항
삼색 LED의 GND 부분이 어느 것인지 알 수 없어서 1회의 실험 실패 후에 파악하게 됨
실험 1의 실패사항
1회차 : 삼색 LED의 GND 연결 부분에 대해
4개의 발 중 유난히 짧은 한 개의 발이라고 예상, 실험을 진행함.
결과 : 삼색 LED의 색상이 스스로 변화하기는 하나,
붉은 색 계열로만 반짝이고 초록과 파란 색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
2회차 : 삼색 LED의 GND 부분이 끝 부분의 발이라는 점은 확실히 알고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,
반대쪽 발이 GND 부분이라고 예상함.
결과 : RGB 색상 모두가 나타나며 원하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음
실험 1의 개선사항
삼색 LED의 GND 부분의 발에 검정색 펜으로 표시를 해 놓음
앞으로 삼색 LED에서 GND와 다른 색상들을
정확하게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알아볼 필요가 있음
실험 2 : 버튼을 이용하여 삼색 LED의 색 조합을 제어하기
삼색 LED 1개 / 버튼 3개 / 1k ohm 저항 3개 준비
회로도를 따라 삼색 LED와 버튼, 저항을 브레드보드와 아두이노에 연결
각각의 버튼을 누를 때 마다 LED의 RGB 값이 변화하여
삼색 LED의 색 조합을 임의로 정할 수 있도록 하는 코딩을 스케치에 작성
컴파일 후 업로드
완료
실험 2의 특이사항
강의에서는 10k ohm 저항을 사용하라고 하나,
1k ohm 저항이 최대인 관계로 1k ohm 저항을 사용함
실험 2의 실패사항
1회차 : 삼색 LED에 파란색 불만 들어오며 버튼 또한 작동하지 않음.
업로드 후, 잠시동안 LED가 꺼진 상태로 있었다가 파란색 불이 1초 정도의 간격으로 깜빡임.
2회차 : 코딩과 회로도를 점검하고 3~4회 정도 새롭게 실험했으나 완료하지 못함
결과 : 시간상 더 이상 실험 2를 점검하지 못하고 스터디를 마무리함
-참고-
아두이노 기초 강의 요약본



















